상수와 리터럴. 저만 햇갈리는게 아닌지 흔히 같이 언급되는 개념이라고 합니다. 그래서 정리해 봤습니다. 상수 (Constant) 상수는 프로그램 실행 도중에 그 값이 변경되지 않는 변수를 말합니다. Java에서 상수를 선언할 때는 final 키워드를 사용합니다. final로 선언된 변수는 값을 한 번 할당받으면 그 이후에는 값을 변경할 수 없습니다. 상수의 이름은 보통 대문자로 표기하며, 여러 단어가 결합된 경우에는 단어 사이를 언더스코어(_)로 연결합니다. final int MAX_WIDTH = 1920; final int MIN_HEIGHT = 1080; 리터럴 (Literal) 쉽게 생각하면 우리가 프로그래밍 할 때 문자료 표현된 데이터가 리터럴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위 그림에선느 '자료형을 기반..
안녕하세요. 첫 프로그래밍 언어인 Java를 배워가며 배웠던 내용들을 티스토리에 정리해 두려고 합니다. 이클립스를 열고 Java로 HelloWolrd 프린트를하는 프로그램을 간단히 만든후 저장해둔 후 터미널(CMD)를 열고 javac 명령어를 해당 파일에 적용하면 아래 사진처럼 커피모양의 .class 파일을 볼 수 있습니다. 코린이 입장에서 궁금했던건 저 커피모양의 파일들은 무엇인가? 였습니다. 왜 만들며? 어떻게 사용하며? 등등 그래서 알아봤습니다. 저렇게 클래스파일들을 생성하여 사용하는 이유는 Java란 언어가 만들어진 이유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습니다. Java가 나오기 전에는 Windows, Linux, Mac OS(Operater system) 등 운영체제 별로 프로그래밍을 따로 했어야 됐다고 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