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수와 리터럴. 저만 햇갈리는게 아닌지 흔히 같이 언급되는 개념이라고 합니다. 그래서 정리해 봤습니다.
상수 (Constant)
상수는 프로그램 실행 도중에 그 값이 변경되지 않는 변수를 말합니다. Java에서 상수를 선언할 때는 final 키워드를 사용합니다. final로 선언된 변수는 값을 한 번 할당받으면 그 이후에는 값을 변경할 수 없습니다. 상수의 이름은 보통 대문자로 표기하며, 여러 단어가 결합된 경우에는 단어 사이를 언더스코어(_)로 연결합니다.
final int MAX_WIDTH = 1920;
final int MIN_HEIGHT = 1080;
리터럴 (Literal)

쉽게 생각하면 우리가 프로그래밍 할 때 문자료 표현된 데이터가 리터럴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위 그림에선느 '자료형을 기반으로 표현되는 상수' 라고 하는데 왜 이런식으로 표현을 정의를 하냐면 프로그램이 컴파일 된 후에는 바뀌지 않기 때문에 상수(변경되지 않는 값)로 볼 수도 있기 때문이다.
이상 상수와 리터럴의 개념에 관한 정리였습니다.
감사합니다!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 형변환 쉽게 이해하기 (0) | 2022.11.08 |
---|---|
Java 란? (컴파일이란?) (0) | 2022.10.31 |
InteliJ 설치 과정 (0) | 2022.10.30 |
안녕하세요 '비전공자의 일본 it업계 취업' 을 기록하고 있는 옷덕입니다. (2) | 2022.10.27 |
상수와 리터럴. 저만 햇갈리는게 아닌지 흔히 같이 언급되는 개념이라고 합니다. 그래서 정리해 봤습니다.
상수 (Constant)
상수는 프로그램 실행 도중에 그 값이 변경되지 않는 변수를 말합니다. Java에서 상수를 선언할 때는 final 키워드를 사용합니다. final로 선언된 변수는 값을 한 번 할당받으면 그 이후에는 값을 변경할 수 없습니다. 상수의 이름은 보통 대문자로 표기하며, 여러 단어가 결합된 경우에는 단어 사이를 언더스코어(_)로 연결합니다.
final int MAX_WIDTH = 1920;
final int MIN_HEIGHT = 1080;
리터럴 (Literal)

쉽게 생각하면 우리가 프로그래밍 할 때 문자료 표현된 데이터가 리터럴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위 그림에선느 '자료형을 기반으로 표현되는 상수' 라고 하는데 왜 이런식으로 표현을 정의를 하냐면 프로그램이 컴파일 된 후에는 바뀌지 않기 때문에 상수(변경되지 않는 값)로 볼 수도 있기 때문이다.
이상 상수와 리터럴의 개념에 관한 정리였습니다.
감사합니다!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 형변환 쉽게 이해하기 (0) | 2022.11.08 |
---|---|
Java 란? (컴파일이란?) (0) | 2022.10.31 |
InteliJ 설치 과정 (0) | 2022.10.30 |
안녕하세요 '비전공자의 일본 it업계 취업' 을 기록하고 있는 옷덕입니다. (2) | 2022.10.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