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va 상수(Constant)와 리터럴(Literal) 차이

2022. 11. 7. 18:09· Java
목차
  1. 상수 (Constant)
  2. 리터럴 (Literal)

상수와 리터럴. 저만 햇갈리는게 아닌지 흔히 같이 언급되는 개념이라고 합니다. 그래서 정리해 봤습니다.

 

상수 (Constant)

상수는 프로그램 실행 도중에 그 값이 변경되지 않는 변수를 말합니다. Java에서 상수를 선언할 때는 final 키워드를 사용합니다. final로 선언된 변수는 값을 한 번 할당받으면 그 이후에는 값을 변경할 수 없습니다. 상수의 이름은 보통 대문자로 표기하며, 여러 단어가 결합된 경우에는 단어 사이를 언더스코어(_)로 연결합니다.

final int MAX_WIDTH = 1920;
final int MIN_HEIGHT = 1080;

 

 

리터럴 (Literal)

 

쉽게 생각하면 우리가 프로그래밍 할 때 문자료 표현된 데이터가 리터럴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위 그림에선느 '자료형을 기반으로 표현되는 상수' 라고 하는데 왜 이런식으로 표현을 정의를 하냐면 프로그램이 컴파일 된 후에는 바뀌지 않기 때문에 상수(변경되지 않는 값)로 볼 수도 있기 때문이다.

 

이상 상수와 리터럴의 개념에 관한 정리였습니다.

 

감사합니다!

저작자표시 (새창열림)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 형변환 쉽게 이해하기  (0) 2022.11.08
Java 란? (컴파일이란?)  (0) 2022.10.31
InteliJ 설치 과정  (0) 2022.10.30
안녕하세요 '비전공자의 일본 it업계 취업' 을 기록하고 있는 옷덕입니다.  (2) 2022.10.27
  1. 상수 (Constant)
  2. 리터럴 (Literal)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 Java 형변환 쉽게 이해하기
  • Java 란? (컴파일이란?)
  • InteliJ 설치 과정
  • 안녕하세요 '비전공자의 일본 it업계 취업' 을 기록하고 있는 옷덕입니다.
옷덕
옷덕
잊지 않기 위해 기록합니다.
신입개발자의 공부 기록 블로그잊지 않기 위해 기록합니다.
옷덕
신입개발자의 공부 기록 블로그
옷덕
전체
오늘
어제
  • 분류 전체보기 (13)
    • Java (5)
    • Spring Framework (7)
    • Flutter (1)

블로그 메뉴

  • 홈
  • 태그

공지사항

인기 글

태그

  • 프론트컨트롤러 컨트롤러 차이
  • 어노테이션 원리
  • 다트 자바
  • 스프링 제어의역전
  • tiles setting
  • config.java
  • config.xml
  • tiles 사용법
  • tiles 설정
  • 어노테이션 DI
  • java
  • Cross-cutting concern
  • jsp tiles
  • Core Concern
  • 스프링 종속성주입
  • xml configuration
  • 다트 독학
  • 노마드코더 다트
  • 스프링 자바 설정
  • 뉴렉처

최근 댓글

최근 글

hELLO · Designed By 정상우.v4.2.2
옷덕
Java 상수(Constant)와 리터럴(Literal) 차이
상단으로

티스토리툴바

단축키

내 블로그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Q
Q
새 글 쓰기
W
W

블로그 게시글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E
E
댓글 영역으로 이동
C
C

모든 영역

이 페이지의 URL 복사
S
S
맨 위로 이동
T
T
티스토리 홈 이동
H
H
단축키 안내
Shift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