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va 형변환 쉽게 이해하기
형변환이란 자료형을 변환 시킨다는 의민데 그런만큼 자료형에 대해서는 잘 알고있어야 활용이 가능합니다.
아래는 Java의 원시 자료형(primitive data types) 을 정리해 둔 표입니다.

형변환의 종류
Java에서 형변환은 2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바로 묵시적 형변환과 명시적 형변환이죠.
1. 명시적 형변환(강제 형변환)
명시적 형변환을 하는 방법은 간단합니다. 아래 예시 코드와 같이 변수에 담기전 ()괄호를 열고 안에 변환하려는 자료형을 적어주면 됩니다.
double d = 85.4;
int score = (int) d; // double에서 int로 명시적 형변환
System.out.println(score);
이렇게 명시적 형변환을 할 경우 큰 데이터 타입을 작은 데이터 타입으로 변환할 때 경우 데이터 손실이 일어날 수 있다는 점을 주의해야 한다고 합니다.
2. 묵시적 형변환(자동 형변환)
자동 형변환은 프로그램이 소스 코드에 명시적으로 변환을 지시하지 않아도 자바 컴파일러가 자동으로 수행하는 형변환입니다.. 라고 하지만 이렇게 말만 들으면 무슨말인지 전혀 감이 안옵니다.
그래서 자동 형변환은 개념만 알아두고 무엇을 기준으로 자동으로 형변환 해주는지 그 규칙을 외우는게 이해가 빨리 된다고 생각합니다.
int num = 100;
long bigNum = num; // int에서 long으로 자동 형변환
float f = bigNum; // long에서 float으로 자동 형변환
System.out.println(bigNum);
System.out.println(f);
규칙은 바로 작은 데이터 타입에서 큰 데이터 타입으로의 자동형변환을 해준다는 것입니다.

int(4byte) 보다 크기가 작은 애들은 연산시 int가 우선되고 long(8byte)과 float(4byte)을 함께 연산하는식으로 하면 용량과 상관없이 실수를 우선 선택합니다.(소수점 이하값의 손실을 막기 위해)
글 처음의 자바 자료형의 크기들을 외워두면 이해가 쉽습니다. 간단하게 큰 물건을 작은공간에 담으면 손실이 일어나니까 식으로 이해하면 프로그램의 어떤 논리로 자동형변환을 해줄지 직관적으로 이해하기 쉽기 때문이죠.
이상 자바의 묵시적 형변환, 명시적 형변환에 관한 정리였습니다.
감사합니다!